신유도법은 롱소드와 붙었을 때 환도와 일본도에 적용하면 빈틈도 많거니와,
환도&왜도는 그냥 짧은 칼인데 롱소드는 크고 길고 무거워서 같이 베어도 반드시 롱소드가 중심을 빼앗아 머리통을 까고,
칼끝은 좁고 뒤에는 무게추가 달려서 칼끝이 매우 빨라 거리를 두면 손 짤짤이로 들어오고,
근접하면 즉시 리히테나워 전투의 예술 주특기인 근접전 뒷날 후리기로 두들겨맞아 상대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롱소드를 상대하려면 이렇게 기효신서 장도가 나서야 하죠. 이정도는 되어야 크게 빙빙 돌려 치는 것도 당위성이 있고, 힘으로 압도해서 막아도 눌러 쳐버릴 수 있게 됩니다. 후반의 스파링 장면을 보면 막았는데 칼이 눌려서 머리 맞는 장면들을 볼 수 있지요.
기효신서에서는 보통 오른손으로 칼날을 잡고 쓰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아무리 장도라도 이렇게 쓰면 롱소드를 압도할 수 없게 됩니다. 손은 가드 없이 노출되어 있는데, 칼날을 잡으면 104cm에서 21cm황동 하바키 빼면 83cm로 92cm이상의 롱소드 칼날보다 10cm정도 짧아지기까지 하고, 도법의 단순함은 그대로니 다시 후드려맞게 됩니다.
오른손으로 칼날을 잡으면 힘도 약해져서 롱소드가 막으면 막혀요. 스파링 영상에서 유심히 보시면 손잡이만 잡으면 롱소드 방어를 쪼개버리며 상대를 조용히 만들어드리는데, 칼날을 잡으면 막혀서 제가 답답해서 그냥 손잡이 잡고 다시 까니 도로 머리 깨는 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펜싱마스크가 휘었다는군요....
그래서 가급적이면 단도법선의 예와 같이 손잡이만 잡고 빙빙 돌려서 치는 것이 훨씬 강력하고 압도적입니다.
신유도법은 일본도/환도끼리의 싸움에서는 나름 쓸모가 있지만, 롱소드와 같이 체급자체가 다른 검을 상대할 때는 역시 일도류가... 일도류가 최고고, 중심을 점하면서 잰걸음으로 꾸준히 들어가며 상대의 선공을 유도하여 찔러도 베어도 계속해서 중심을 뺏고 들어가는 방식만큼 우월한 게 없다고 느꼈습니다. 역시 소태도/중태도도 타치를 상대하던 츄조류-토다류-카네마키류의 후속 답습니다.
(츄조류中条流 연무. 카타해설서 등의 책만 남아있고 적통은 끊겨서 영상은 복원 연무입니다. 그래도 매우 효율적이네요.)
환도/왜도로 롱소드를 상대하려면 완전히 몸이 붙기 전 약간 애매한 간격해서 타돌하면서 찌르거나 베면서 몸통박치기를 넣는 것이 제일 낫습니다. 먼 거리에서 타돌하면 롱소드 칼끝에 당하고, 붙으면 즈베히하우/쉴하우와 같은 근접공격에 당하기 쉬워서 많이 붙어보면서 최적의 간합을 찾는게 답입니다.
tag : 기효신서, 장도, 환도, 왜도, 일본도, 일도류, 최고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