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조선세법을 외날의 환도로 하는데, 중국의 무비지에 실린 원전을 보면 양날 양손검으로 합니다. 무비지에 의하면 원래 중국의 검법이 조선으로 건너갔는데 중국에선 잊어버린 것을 조선에서 되찾아 다시 가져온 것이라고 하니, 그 언급만 보면 원래는 중국 검술이라고 볼 수 있겠죠. 무비지, 단도법선, 기효신서 등을 연구하는 http://www.chineselongsword.com/ 에서도 단연 조선세법을 한께 연구하고 있는데, 독자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양날 양손검을 이용하여 재현을 보여줍니다.
국내에서는 무비지의 삽화를 따르지 않고 그 내용을 가져와 외날도로 하는 것으로 변형시킨 무예도보통지의 예도 항목을 따르기 때문에 외날 카타나를 주로 쓰는데다 단체마다 해석이 틀려서 무예도보통지를 그대로 따르는 곳도 있고 왠지 한손 중국검을 쓰는 곳도 있고 무슨 거합발도술 연무처럼 변질시킨 곳도 있는데, 이 무비지를 토대로 한 재현은 가장 오래된 원전을 따르고 있으므로 고전 조선세법을 재현한다면 단연 이 단체처럼 양손 양날검을 사용하는것이 가장 고증에 맞는 것이라 봅니다.
tag : 조선세법
국내에서는 무비지의 삽화를 따르지 않고 그 내용을 가져와 외날도로 하는 것으로 변형시킨 무예도보통지의 예도 항목을 따르기 때문에 외날 카타나를 주로 쓰는데다 단체마다 해석이 틀려서 무예도보통지를 그대로 따르는 곳도 있고 왠지 한손 중국검을 쓰는 곳도 있고 무슨 거합발도술 연무처럼 변질시킨 곳도 있는데, 이 무비지를 토대로 한 재현은 가장 오래된 원전을 따르고 있으므로 고전 조선세법을 재현한다면 단연 이 단체처럼 양손 양날검을 사용하는것이 가장 고증에 맞는 것이라 봅니다.
tag : 조선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