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스 프로젝트
근래 들어 긴 창이 하나 정도는 있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원래 최대 310cm정도까지 창을 만들어 봤고 상당기간동안 270cm체제를 유지했었지만 현실적으로 쓸 일은 없으면서 지나치게 길어 보관과 수련, 이동에 있어 모든 부분에서 불편했기 때문에 지금은 긴 창을 전부 줄이거나 잘라서 쿼터스태프로 만들었죠. 하지만 역시 긴 창의 로망은 떨쳐내기 힘든...
View Article최초의 페르시아 전투술 서적 발매가 임박
이전에도 몇번 언급했던 독일 주재 이란인 박사 Dr. Manouchehr Moshtagh Khorasani는 이란의 고전 매뉴얼들을 연구해서 전통 페르시아 무술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그 연구의 집대성이 올해 11월에 발매될 모양입니다. 책명은 Persian Archery and Swordsmanship: Historical Martial Arts of...
View Article일본의 베기 실패 영상
베기 실패하는 영상들입니다. 중간에 보면 실패하고 일본도가 슬쩍 휘어 있는 것도 볼 수 있죠. 일본에도 한시바삐 모노스틸 통열처리 제품이 활성화되어야 하는데, 일본 국내법 때문에 아마 힘들지 않나 싶네요. 거긴 그렇게 만든 건 <예술품> 일본도가 아니라 <무기>로 취급되므로 소지가 불가능하죠. 국내 베기장의 연타베기 등을 비판하는...
View Article중국의 조선세법 복원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세법을 외날의 환도로 하는데, 중국의 무비지에 실린 원전을 보면 양날 양손검으로 합니다. 무비지에 의하면 원래 중국의 검법이 조선으로 건너갔는데 중국에선 잊어버린 것을 조선에서 되찾아 다시 가져온 것이라고 하니, 그 언급만 보면 원래는 중국 검술이라고 볼 수 있겠죠. 무비지, 단도법선, 기효신서 등을 연구하는...
View Article무비지, 기효신서, 무예도보통지 무술적 복원의 한계
여러차례 소개한 http://www.chineselongsword.com/도 그렇고 서양에서 유명한 양가태극권사 스캇 로델도 그렇고 은근히 명나라 시대에 편찬된 무술군사서적을 토대로 지금의 중국무술이 아닌, 진정한 군용무술을 복원해보고자 하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죠. 근본적 문제점의 알파이자 오메가는 해당 서적들에 실린 내용 자체가 단편적인 기술이나...
View ArticleARMA모임 20121003
오늘은 개천절 휴일을 맞이해서 간단하게 모였습니다. 거의 설렁설렁한 분위기로 진행됐습니다. ◆ 오버하우에 대한 방어에 대해서 헹엔이나 슈랑훗은 좀 더 주의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카운터 드릴을 위해 수행하는 방법론 중 슈랑훗과 행잉을 이용해 커버를 치면서 전투간격으로 진입하여 교전을 유도하는 것이 있는데, 몇몇 햏은 제가 가하는 오버하우에 대해서...
View Articlem1941 커틀러스 개량
세이버는 느슨하게 쥐고 손가락을 활용하여 조작하는 특성상 칼이 손에서 빠져나가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그걸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설계가 반영되었죠. 가장 흔한 것은 세이버 손잡이의 뒤쪽을 굽혀놔서 손가락에 걸려서 안 빠져나가게 하는 것입니다만, 개중에는 보조적인 도구를 사용한 예도 있습니다. 17세기 폴란드에는 크로스가드 옆에 엄지손가락을 끼우는 링을...
View Article세이버 검술 훈련시 참고하기 좋은 무술들
세이버 검술에 있어서 교범만으로는 명확한 한계가 있습니다. 대부분 군용으로 간략화된 시스템이라, 19세기에는 전형적인 원거리 유지& 방어와 반격 시스템만을 가지고 있어서 중근거리, 동시 공격 개념까지 올라운드로 포괄하려면 17~18세기 매뉴얼까지 참고해야만 하죠. 하지만 이것으로도 알 수 없는 것들이 있는데, 바로 베기를 할 때 손가락은 어떻게...
View ArticleARMA모임 20121007
근래 들어서는 대체적으로 느슨해진 감을 지울 수 없습니다. 여름의 폭염으로 ARMATURA훈련을 줄인 이후 이제 날씨도 선선해졌으니 다시 복귀해야 할텐데 말이죠. 오늘은 출석인원도 적어서 더 그런 감이 있었습니다. 원래 개인이 할 수 있는 건 주중에 개인이 하고, 모임에서는 둘이서만 할 수 있는 여러 드릴과 프리플레이 위주로 가자고 했지만, 모두들 바쁜...
View Article이 새끼들이?!
http://www.ebay.com/itm/150919847491?_trksid=p5197.c0.m619 중국의 복제 도장구는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이 물건을 보고 경악을 금할 수 없었죠. 이건 바로 일본군 원수도 도장구입니다. 원수도는 http://www.h4.dion.ne.jp/~t-ohmura/gunto_135.htm에서 참고하시면 되겠지만 아주...
View Article실용대도술 실기해제
http://zairai.egloos.com/56085221.왼쪽을 향해 정면베기2.그대로 상대 총검을 걸어올리면서 팔상세로 복귀3.밑으로 찔러오는 총검을 오른쪽 아래로 치면서 걷어냄. 동시에 왼발은 오른발 앞으로. 다시 오른발이 전진하면서 칼을 머리 위로 올리고 상대 팔이나 머리를 향해 정면베기.4.왼발을 왼쪽으로 보폭을 넓히듯이 딛으면서, 오른발은...
View Article수직베기와 대각선베기의 상관관계
대각선베기는 인체에 대한 저지력이 가장 강한 것은 물론 파워나 절삭력도 가장 강한 베기입니다. 수직베기는 보통 머리를 노리는데 머리는 단단한 두개골이 있어 이것을 깨기는 매우 힘들 뿐더러 대체적으로 얼굴의 피부를 깊게 벨 수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죠. 그러나 대각선베기는 보통 쇄골이나 어깨에서 시작하여 옆구리로 빠져나가므로 절단부위의 크기, 뼈의 강도 등등...
View Article콜드스틸 1815 프랑스 세이버의 리뷰를 보니...
http://forum.sword-buyers-guide.com/viewtopic.php?f=6&t=13645 소드 바이어스 가이드 포럼(SBG Forum)의 근대화의 기수, 데이브 켈리 영감님이 바로 콜드스틸 1815세이버를 구입하여 리뷰를 하신 모양입니다. 보기드문 외형과 화려한 외장으로 기존까지의 콜드스틸 제품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어...
View Article1878년 부쿠레슈티에서
하루는 이런 일이 있었다. 키예프로 가는 길에 잠시 부쿠레슈티에 들렀다. 도시를 둘러보았는데 하늘하늘한 옷을 입은 여자들이나, 정장을 차려입은 신사들이 돌아다녔고, 마차가 돌아다녔다. 나는 커피를 마시고 길을 걷다가 흥미가 동해서 골목으로 들어갔는데, 석조로 잘 포장된, 하지만 반갑지 않은 냄새가 나는 수로를 찾았다. 작은 다리가 있고, 도로에서 24개의...
View Article군도의 조법 실기해제
http://zairai.egloos.com/5344714 http://zairai.egloos.com/5343876 http://zairai.egloos.com/5347751 1부 야전도법 발도법 : 칼집을 왼손으로 감싸고 엄지로 쯔바를 밀어 칼집에서 빠져나오게 한 다음, 오른손으로 뽑아서 발도. 납도법 : 칼집을 왼손으로 감싸되 칼집이 약간 손 안쪽으로...
View Article터번헬름, 잠비야 판매
중동 이슬람세계에서 특징적으로 사용되었던 투구로, 흔히 터번헬름이라 불리는 종류입니다. 우크라이나의 암스트리트사 제품으로, 2mm두께의 연강으로 만들어져 SCA아머드배틀 같은 헤비컴뱃에서도 버틀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상태는 제법 낡았고, 녹방지를 위해 투명 락카로 코팅되어 있습니다. 구입할 때는 66만원이었습니다만 8만원에 판매합니다. 황동 눈썹 등...
View Article세이버 검술의 측면잡기
근대검술에서는 적극적으로 상대의 측면을 잡는 보법을 보기가 어렵습니다. 단순히 옆으로 이동한다는 개념은 존재하지만 적극적으로 전진하면서 상대의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빠지면서 공격 라인에서 벗어나 측면을 잡는 것이나, 혹은 앞발은 그대로 두고 뒷발을 옆으로 빼는 볼타(Volta)개념도 찾을 수 없었죠. 개인적으로 가장 중심적으로 접하게 되는 영국계 교범에서는...
View Articlem1941 & 항일대도 판매
미국 콜드스틸사의 M1941 커틀러스, 중국 폴첸사의 항일대도를 판매합니다. 둘다 그동안의 다양한 사용과 개조, 개선에 투입되서 상태는 야전 여러번 투입된 빈티지 그 자체입니다. 이 점을 명확하게 주지하시고 구입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세부적인 설명과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 폴첸사의 항일대도세계 제2차대전의 중일전선에서 국민혁명군이 일본군과의...
View Article도구의 탄생(The Birth Of A Tool)
라트비아의 대장장이 존 니만(John Neeman, http://www.neemantools.com/en/about-us/who-where-why)의 도끼&끌 제작 겸 홍보영상입니다. 감성 돋네....tag : 대장장이, 감성폭발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