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tozandoshop.com/CLEARANCE-Antique-2-32Shaku-Bakumatsu-Shinken-S-p/372-e47962.htm
미국의 일본 무도구 판매 사이트 토잔도에 올라운 막부 말기의 진품 일본도인데 통어피 칼집이더군요.
어피는 가오리 가죽이나 상어가죽을 쓰는데 나무를 갈아낼 만큼 튼튼한데 무늬도 볼만하고 또 가격도 비싸고 가공도 쉽지 않아서 내구성과 럭셔리함을 동시에 잡는 물건으로 알려져 있죠.
서양은 손잡이에만 가끔 쓰지만 일본에선 기본으로 손잡이 양쪽에 어피를 붙이고 좀 있다 싶으면 어피를 통으로 감쌉니다. 양쪽에만 어피를 붙이는 이유는 어차피 끈으로 가려지니까 비싼 어피의 품격을 저렴하게 보이고자 하는 것인데, 내구성을 생각하면 당연히 딱딱한 외피를 통으로 감싸주는 것이 손잡이 손상 방지에도 좋습니다. 하지만 비싸니까 어쩔 수 없이 양쪽에만 붙이는 것이죠. 그런 비싼 물건을 칼집에 통으로 감는다는 건 보통 돈이 많다는 게 아니고, 또 가공과정도 물에 적셔서 흐물거리게 만든 다음 수축률 다 계산해서 사이즈가 조금 다른 손잡이를 따로 만들어 감아 말리고 진짜 손잡이에 끼우는 식이라 가공비도 많이 듭니다. 이러니 품격-돈자랑-실용을 다 잡을 수밖에 없는 것이죠.
다만 단점도 명확합니다. 다 좋은데 물에 적시면 흐물거리는 특성 때문에 비가 많이 오거나 수중에서는 순식간에 난리가 납니다. 일본 해군육전대는 해군 제식의 양손세이버를 사용했는데, 1932년 제1차 상해사변에서 상륙전을 벌이다가 칼집의 어피가 흐물거려 벗겨지고 칼집 틈새로 바닷물이 새어들어와 칼날에 녹이 심하게 쓸어버린 참사가 벌어진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진과 같이 육군용 철제 칼집을 구해다 쓴 사례도 확인됩니다. 집이나 베기장에서 고이 모시고 다닐 거면 통어피 칼집 매우 좋지만, 우천시와 같은 야전 상황에서는 오히려 삼베 감고 카슈칠한 것보다 내구성은 떨어질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관리가 아예 안되면 수분이 빠져나가 말라붙어서 과하게 수축되어 여기저기 갈라지고 찢어집니다. 18세기 유럽 스몰소드나 중국검 등을 보면 가끔 칼집도 통어피로 만든 경우가 있는데 관리가 안된 경우 칼집 겉이 산산히 분해되고 떨어져나간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일본도 중에서도 관리가 안된 경우 손잡이의 어피가 지나치게 수축되거나 분해된 경우를 볼 수 있지요. 진짜 야전용으로나 장기 무관리 보관에 사실 천연재료 치고 약점 없는 게 없습니다만 어피는 그중에서도 강한 내구성 때문에 좀 단점이 가려지는 측면이 있습니다.
tag : 일본도, 어피, 통어피, 칼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