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시조리란 말 그대로 허리에서 휘었다는 뜻으로, 손잡이 가까운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휘어진 일본도를 그렇게 부릅니다. 덕분에 엄청나게 휘어진 것처럼 보이죠. 손잡이와 칼날 부분에서 꺾이다 보니 똑같은 휨을 가졌더라도 코시조리가 실사용에서 훨씬 칼끝이 뒤로 가 있고 타점이 느리게 따라옵니다.
초창기 일본도는 죄다 저모양이었습니다. 정확히는 극초기형 타치(太刀)들이 저랬는데 그 이유는 당시 무사들의 전투방식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헤이안-가마쿠라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우리가 아는 이미지와는 달리 당시 사무라이들은 말을 타고 달리며 활을 쏘는 것이 전투의 중심이었습니다. 이는 일본 동북부에 살던 이민족인 에미시들의 전투법을 도입하게 된 것에서 유래한다고 전해집니다.
그래서 마상에서 적을 베려면 저렇게 칼끝이 뒤로 가게 휘어져야만 했습니다. 그래야만 적을 칠 때 충격을 스무스하게 흘려내면서 베어버릴 수 있었기 때문이죠. 샴쉬르나 세이버 같은 곡도들이 매우 크게 휜 것도 같은 이유였습니다. 하지만 전술이 바뀌면서 저 스타일도 점점 사장됩니다. 중간 부분이 휜 토리조리, 앞쪽이 휜 사키조리 방식이 대세를 차지하게 되죠. 그 편이 도보 백병전에서 벨 때 상대에게 충격을 더 잘 가할 수 있고 찌르기에도 나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무튼 코시조리는 이후로도 타치의 상징처럼 여겨지게 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타치에 대한 이해도 별로 없고 현대의 일본도를 쓰는 검술은 죄다 카타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본 검술 중에서도 일부만 들어온 국내에서 저런 고전적인 스타일의 타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사실상 없습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국내에서 잠깐 타치 도신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었는데 저 칼은 그 시절의 유물입니다. 날길이가 제가 알기로 83cm인가 했을 겁니다. 여러 사람들 손을 거치다가 결국 제작사로 다시 입고된 물건인데 사용자들이 대부분 자신이 배운 검술과의 상당한 괴리를 호소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중단에서 베기를 멈추면 보통 카타나는 칼끝이 배나 명치를 향하는데, 저건 어깨 높이에서 칼끝이 멈출 정도라고 하더군요. 그 외에 베기를 하면 타점이 상당히 늦게 따라오기 때문에 타이밍 잡기도 힘들다고 하고. 태생을 생각하면 어쩌면 당연한 부분이겠죠.
개인적으로 저 칼에 대해 궁금증이 상당했는데 과연 코시조리의 타치 도신이 얼마나 불편하길래 결국 소유자들마다 오래 갖고 있지 못하고 넘겼는지, 타점이나 중단 불가의 문제가 있다는데 도대체 얼마나 문제가 있는건지도 궁금했고 또 타치 스타일이 생각보다 오랜기간 쓰여왔는데 정말 도보전에서도 못쓸 만큼 괴리가 있는가에 대해서도 알고 싶었죠.
그래서 마침 군도 칼집 보수작업 하는 김에 가서 잡아봤습니다.
생각한 것보다는 나쁘지 않더군요. 밸런스도 상당히 괜찮았고 원하는 시점에서 얼마든지 멈출 수 있었죠. 밸런스가 나쁜 칼, 가령 제 해군도 같은 경우는 멈출 때 오른손에 밑으로 땡기는 듯한 충격을 가하는데 저건 그런 것도 없었구요. 뭐 중단에서 멈추는 문제도 칼끝 위치를 생각하고 그에 따라서 하면 문제 없더군요. 손잡이 뒷부분이 너무 올라오는 문제를 예상했지만 팔을 밑으로 조금만 더 뻗어주면 상관없었구요. 요약하자면 중단에서 멈춰도 문제없고 서양식으로 쓰면 전혀 문제 없었습니다.
베기는 못해봤지만 일단 조작감과 밸런스, 활용면에서는 상당히 괜찮다고 여겨졌습니다. 쓰는 데엔 별 문제 없겠더군요. 다만 찌르기는 잘 안되겠다 싶긴 했습니다만, 국내의 그 누구도 감히 가지지 못한 역사적 스타일을 독점한다는 걸 생각해보면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 뭐 옛날이야기책인 <오부스마 사부로 이야기> 에서도 코시조리 타치로 보병전 잘만 하고 있는데 아예 못쓸 것 같았으면 진작에 디자인 바뀌었겠죠.

한번쯤 구매를 시도해볼만한 스타일이라고 여겼습니다. 물론 일본 검술을 수련하는 입장이라면 맞지 않는 부분도 있겠지만, 남들이 갖지 못한 독보적인 스타일을 역사적 고증 내에서 원한다면 역시 타치 외장에 코시조리 도신 말고는 답이 없습니다.
tag : 일본도, 타치, 코시조리